본문 바로가기
오늘은 강태공(낚시)

사선낚시 채비의 구성과 찌맞춤, 장단점

by happybizvirus 2025. 1. 30.

겨울철 하우스낚시를 하다 보면 개장 초반의 활발한 입질은 1~2월이 되면서 점점 까칠해져서, 입질 폭도 반마디에 그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채비도 점점 더 가볍게, 가늘게 하게 됩니다. 금일 소개해 드리는 ‘사선낚시’는 동절기 하우스낚시에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선낚시 채비의 구성과 찌맞춤, 장단점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선낚시 썸네일 이미지

 

사선낚시 채비 구성 

권장되는 채비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원줄 : 1.0~1.2호 모노필라멘트
  • 목줄 : 0.6~1.0호 (강한 챔질 시 0.8~1.0호 권장)
  • 목줄 길이 : 35-40cm 또는 40-45cm (5cm 단차)
  • 바늘 : 3~5호
  • 찌 : 0.4푼 이상의 저부력의 사선찌 추천

채비 구성의 중요사항

  • 저부력 찌 : 민감한 입질 표현을 파악하기 위해서 매우 낮은 부력의 찌(0.4푼~1.2푼)를 사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채비 경량화 : 찌 부력이 낮기 때문에 봉돌을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해서 가볍게 구성합니다.
    가는 줄과 함께 가벼운 실리콘 찌고무, 핀클립을 이용하여 오링(쇠링)으로 채비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찌맞춤 : 바늘과 미끼를 포함하여 풀 투척한 상태에서 찌톱이 수면 위로 1목 이상 나오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채비가 안정적으로 수면에 안착해야 입질 신호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원줄과 목줄의 조화 : 원줄의 절반이나 80% 수준으로 목줄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목줄 길이는 35~45cm로 설정하고, 입질 상황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미끼의 점성과 크기 : 채비 안착 시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는데, 이때까지 유지되도록 점성을 높게 조절하여 사용하고, 크기는 새끼손가락 마디정도의 크기로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 사선 유지와 정렬 : 채비 투척 후 원줄이 사선을 이루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풀스윙 투척 후 낚싯대를 앞쪽으로 밀어준 상태로 있다가 찌가 서서히 입수할 때 낚싯대를 뒤로 천천히 빼서 사선을 유지합니다.

이 모든 조건은 사선낚시의 핵심인 민감한 입질 표현과 정확한 챔질 타이밍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채비를 제대로 구성하고 조정하면, 사선낚시에서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사선낚시 찌맞춤 방법 

사선낚시에서 찌맞춤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채비의 안정성과 입질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 無바늘 찌맞춤 : 바늘과 미끼를 제거한 상태로 찌와 편납(핀도래 + 오링)만 단 상태로 찌맞춤을 합니다.
  • 수심보다 30cm 가까이 찌를 내려서 봉돌이 완전히 뜬 상태에서 진행하고, 편납(오링)을 가감하여 찌톱 1~3목 정도 노출되도록 맞춤합니다.
  • 바늘과 미끼를 추가한 추가 찌맞춤 : 투척방법과 미끼의 크기에 따라 사선의 길이가 틀려질 수 있습니다. 최대한 동일한 스윙과 미끼의 크기를 유지하고, 풀 투척했을 때 맞춤 목수 보다 2~3목 더 나올 수 있도록 추가 찌맞춤 합니다.

 

사선낚시의 중요사항 

사선을 유지하는 투척

채비 투척 후, 원줄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낚싯대를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척 시 낚싯대를 앞으로 유지하고, 찌가 천천히 내려갈 때 천천히 뒤쪽으로 낚싯대를 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짧은 고패질

사선낚시에서도 고패질을 통해 고기 유인 동작은 필수입니다. 다만, 올림낚시에서 처럼 낚시대를 어깨까지 들었다 놓는 것이 아니라 거치된 상태에서 뒤로 10cm 정도 살짝씩 짧게 고패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찌높이 미세 조정

입질 패턴에 따라 찌톱 높이 조절이 필요합니다. 예민한 입질까지 포착하려면 2~3목으로 설정하고, 활성도가 좋은 상황에서는 5목 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입질 파악

채비의 올바른 정렬이 되었다면 정확하게 딱딱 끊어지는 내림입질이 보통입니다. 입질과 몸짓의 구분이 어려워 챔질 타이밍을 잡지 못하면 정확한 후킹이 안되기도 하고, 몸통, 꼬리, 옆걸림이나 입 속 깊숙이 바늘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오늘은 사선낚시 채비의 구성과 찌맞춤, 장단점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소개해 드린 ‘얼레벌레 채비’와 함께 동절기 하우스 낚시에서 많은 조사님들이 하고 계신 기법이 바로 ‘사선낚시’ 방법입니다. 옆에서 보다 보면 초저부력으로 찌안착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다 보니 조금 답답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조금 여유로운 마음으로 사선낚시 해 보신다면 또 다른 매력을 느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이상, 해피바이러스였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얼레벌레 채비의 찌맞춤과 장단점

낚시를 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낚시기법이 있어서, 이런 방법도 해보고, 저런 방법도 해보는 것이 낚시조사의 당연한 과제이지 않을까 합니다. 전통 바닥 올림낚시만 하면서 스위벨채비도 해보

happybizvirus1.tistory.com

 

낚시 매듭 종류와 묶는 법- 초릿대 매듭(무매듭), 도래 매듭

오늘은 낚시 매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낚싯대에 찌, 봉돌, 바늘을 연결하는 것을 말씀드리기 전에 필수적으로 낚시 매듭에 대하여 알고 계셔야 하기 때문에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appybizvirus1.tistory.com

 

민물 붕어낚시 현장 찌맞춤 방법

안녕하세요. 모든 직장인이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해피바이러스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민물낚시 준비물, 매듭법, 채비 연결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현장에서 전체적인 셋팅법에 대하여

happybizvirus1.tistory.com

※ 오늘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공감) 부탁드립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