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병역 사항(병과, 역종 등) 작성 방법
사회초년생부터, 이직을 고민하는 직장인이 가장 먼저 취업을 위해서 작성해야 하는 것이 이력서입니다. 기본적인 인적사항과 함께 학력, 자격사항, 경력, 자기소개서 등을 작성하게 되는데, 첫 페이지 중간 부분에 항상 고민이 되는 부분이 바로 병역사항입니다. 군대 다니면서 항상 외웠던 군번도 시간이 지나면 잊히게 되고, 병과, 역종 등의 다소 생소한 단어까지 있다 보니 어떻게 기재를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력서 작성 시 필요한 병역사항, 병과, 역종 등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력서 작성 시 병역사항 작성 방법 대부분의 이력서 병역사항에는 복무여부, 군별, 병과, 계급, 복무기간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각 항목별..
2024. 6. 27.
생활폐기물, 불연성용 마대 구입 방법과 가격, 구매처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쓰레기가 발생합니다. 작은 휴지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박스, 플라스틱용기, 비닐 등도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는 별문제 없이 잘 버리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깨진 그릇, 형광등, 플랜테리어나 작은 텃밭에 사용했던 흙과 화분, 반려묘에 사용했던 모래 등을 버릴 때에는 ‘어? 이거 어떻게 버려야 하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수 생활폐기물은 전용 불연성용 마대를 구입하여 버리셔야 합니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목재, 흙, 유리, 화분 등의 특수생활폐기물 버리는 방법과 불연성용 마대 구입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수생활폐기물 버리는 방법 타지 않는 쓰레기, 예를 들어 도자기, 유리, 흙 등을 버릴 때에는 불연성용 마대를 구입하여 버..
2024. 5. 4.
사용율과 사용률, 백분율과 백분률 차이점과 구분하는 방법
최근 포스팅했던 ‘참조와 참고’, ‘결제와 결재’의 구분과 함께 우리의 생활에서 많은 혼돈을 야기하는 단어가 ‘사용율 vs 사용률’, ‘이용율 vs 이용률’이지 않을까 합니다. 뜻이야 당연히 통하겠지만, 그래도 정확한 철자를 쓰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사용률과 사용율, 백분율과 백분률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율'과 '률'의 차이 백분율, 할인율, 경쟁률, 수익률 등 많은 단어에서 ‘율’과 ‘률’을 사용하게 됩니다. 원칙은 율(률) 앞에 ‘모음’으로 끝나거나 ‘ㄴ’ 받침이 있는 경우 ‘율’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률’을 사용하게 됩니다.‘율’ 표기 : (모음) 치사율, 감소율, 공제율 등 (’ㄴ’ 받침) 백분율..
2024. 4. 19.